컨텐츠 바로가기

  • LOGIN
  • JOIN
  • MYPAGE
  • CART
  • ORDER
  • WISH LIST
검색검색
 


이전상품 다음 제품 보기 확대보기
기본 정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저자 배규범, 주옥파
서지정보 판형|신국판 • 제본|무선철
  페이지수|632쪽 • 발행일|2010.01.29
ISBN 978-89-7699-660-2 93810
정가 절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배송비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수량증가 수량감소 절판 (  )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상세정보

책소개


이 책은 한국 역사 속에서 한국인들이 향유해 왔던 문학 작품들을 하나씩 정리하여 소개하는 책이다. 또한 이 책의 독자는 외국인, 특히 한국문학에 관심이 많은 일반 외국인은 물론 한국어문을 전공으로 하는 해외 대학의 한국어과 학생들, 그리고 한국에 유학 온 학생 중 한국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이다. 이들은 한국 내 국문학 전공 학생들과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와 한문으로 된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만큼 학술적인 접근이나 일반적인 기술방식으로는 안 된다. 그래서 외국인 학생들은 각 장르별로 해당 작품을 읽고 각 장르의 특징과 그 문학적ㆍ사회적 의미 등을 스스로 도출해내기 보다는 그런 부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을 읽고 싶은 것이다. 이에 이 책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사 기술에 있어 다음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연표식(年表式) 기술 방법을 택하였으며, 긴 서술체의 학술적인 문장보다는 도표(圖表)나 그림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수많은 작품의 내용을 발췌식으로 요약ㆍ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 장르에 대한 전체적인 성격이나 특징을 세부 항목에 맞춰 정리하였다. 그래서 독자들에게 개별 작품과 함께 각 장르가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문학사에 기술된 세세한 의미에 대해 한 학기라는 정해진 시간 동안 이해하면서 넘어가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작품을 선별하고, 그 의미에 대해서 간추려 얘기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고, 가능하다면 중국 내 다른 작품들과 비교하면서 넘어가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교수법이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추구하고 있는 방법이 어느 정도 의미가 있으리라 본다.



저자소개


배규범
1998년 경희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임란기 불가문학 연구>)를 받은 이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에 전력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지난 10여 년간 외국인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했으며, (사)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의 한자능력검정시험 출제 및 검토위원으로 재임 중이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학술진흥재단의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2000년부터는 국사편찬위원회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고종 순종≫ 교열 및 교감 작업에 참여했다. 중국 베이징시 대외경제무역대학 한국어과에서 국제교류재단 파견교수로 재직하며 중국 학생들에게 우리의 말과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불가시문학론≫, ≪조선조 불가문학 연구≫, ≪사명당≫, ≪한자로 배우는 한국어≫, ≪요모조모 한국읽기≫, ≪한국 불가 잡체시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선가귀감≫, ≪한글세대를 위한 명심보감≫, ≪사명당집≫, ≪허정집≫, ≪청허당집≫, ≪허응당집≫, ≪역주 창랑시화≫, ≪정관대사일선시집≫ 등이 있다.

주옥파
중국 헤이룽장성에서 출생하여 대외경제무역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및 동 대학원(문학석사), 한국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원(교육학박사)을 졸업하고 현재 대외경제무역대학교 한국어학과에 부교수 및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중한 문화차이의 번역에 관한 소고」,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 연구」, 「중한 속담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교 연구」, 「중한 동시통역 교육의 필요성과 발전 전망」 등 20여 편이 있고, 저서로 『중한 번역 교육론』, 『實戰商務韓國語敎程』(초·중급), 『신개념 한국어』(1-4, DVD교재), 『비즈니스 한국어』(공저), 『인터넷 시사 중국어』(공저), 『정선 한중·중한사전』(공저), 『초급한국어학습사전』(번역서) 등 10여 종이 있다.



목차


책을 시작하며


B.C.2333년
「단군신화(檀君神話)」
[참고 1]『삼국유사』에 전하는 건국신화들
(1) 해모수신화(海慕漱神話)
(2) 금와신화(金蛙神話)
(3) 박혁거세신화(朴赫居世神話)
(4) 김알지신화(金閼智神話)
(5) 수로왕신화(首露王神話)


연대미상
「동명왕신화(東明王神話)」

연대미상
 제천대회(祭天大會)

연대미상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공후인(箜篌引)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처

B.C.17년(瑠璃王03)
「황조가(黃鳥歌)」 유리왕(瑠璃王)

32년(儒理王10)
「회소곡(會蘇曲)」 작자미상⋅가사부전

42년(儒理王19)
「구지가(龜旨歌)」 작자미상

연대미상
「정읍사(井邑詞)」 어느 행상인의 처

579~632년(眞平王代)
「서동요(薯童謠)」 무왕(武王)

579~632년(眞平王代)
「혜성가(彗星歌)」 융천사(融天師)

612년(嬰陽王23)
「수나라 장군 우중문에게 주는 시[與隋將于仲文詩]」 을지문덕(乙支文德)
632~647년(善德女王代)
「풍요(風謠)」 양지(良志)

647~654년(眞德女王代)
『삼대목(三代目)』 위홍(魏弘)⋅대구화상(大矩和尙) 부전

661~681년(文武王代)
「원왕생가(願往生歌)」 광덕(廣德)

692~702년(孝昭王代)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득오(得烏)

702~737년(聖德王代)
「해가(海歌)」 작자미상

702~737년(聖德王代)
「헌화가(獻花歌)」 견우노옹(牽牛老翁)

737~742년(孝成王)
「원가(怨歌)」 신충(信忠)

742~765년(景德王代)
「화왕계(花王戒)」 설총(薛聰)

742~765년(景德王代)
「제망매가(祭亡妹歌)」 월명사(月明師)

742~765년(景德王代)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희명(希明)

760년(景德王19)
「도솔가(兜率歌)」 월명사(月明師)

764년(景德王23)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충담사(忠談師)

764년(景德王23)
「안민가(安民歌)」 충담사(忠談師)

785~798년(元聖王代)
「우적가(遇賊歌)」 영재(永才)

875~886년(憲康王代)
「처용가(處容歌)」 처용(處容)

886년(定康王01)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최치원(崔致遠) 
「향악잡영(鄕樂雜詠)」 최치원(崔致遠) 
「추야우중(秋夜雨中)」 최치원(崔致遠) 

[참고 2]『최고운전(崔孤雲傳)』
[참고 3]「최치원설화(崔致遠說話)」
[참고 4] 향찰(鄕札)ㆍ이두(吏讀)ㆍ구결(口訣)의 차이점


963~967년(光宗14~18)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균여(均如)

1075년(文宗29)
『균여전(均如傳)』 혁연정(赫連挺)

[참고 5] 장르 정리 1 향가(鄕歌) 114


1096년(肅宗01)
『수이전(殊異傳)』 작자미상 부전

1103년(肅宗08)
『계림유사(鷄林類事)』 송나라 손목(孫穆)

1106~1122년(睿宗代)
「벌곡조(伐谷鳥)」 예종(睿宗) 가사부전

1106~1122년(睿宗代)
「유구곡(維鳩曲)」 작자미상 가사부전

1120년(睿宗15)
「도이장가(悼二將歌)」 예종(睿宗)

1135년(仁宗13)
「송인(送人)」-大同江 정지상(鄭知常)

1145년(仁宗23)
『삼국사기(三國史記)』 김부식(金富軾)

1147~1170년(毅宗代)
「공방전(孔方傳)」⋅「국순전(麴醇傳)」 임춘(林椿)

1170년~(毅宗代)
「정과정곡(鄭瓜亭曲)」-三眞勺 정서(鄭敍)

1213~1241년(高宗代)
「무장공자전(無腸公子傳)」 이윤보(李允甫) 부전

1216년(高宗03)
「한림별곡(翰林別曲)」 한림학사(翰林學士) 공동작

1220년(高宗07)
『파한집(破閑集)』 이인로(李仁老)

1241년(高宗24)
「동명왕편(東明王篇)」⋅『백운소설(白雲小說)』⋅「국선생전(麴先生傳)」⋅「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슬견설(虱犬說)」⋅「이옥설(理屋說)」⋅「경설(鏡說)」『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이규보(李奎報)

1254년(高宗41)
『보한집(補閑集)』 최자(崔滋)

1274~1308년(忠烈王代)
「쌍화점(雙花店)」 작자미상

1281년(忠烈王07)
『삼국유사(三國遺事)』 일연(一然)

1287년(忠烈王13)
『제왕운기(帝王韻紀)』 이승휴(李承休)

1330년(忠肅王17)
「관동별곡(關東別曲)」ㆍ「죽계별곡(竹溪別曲)」 안축(安軸)

1342년(忠惠王03)
『역옹패설(櫟翁稗說)』 이제현(李齊賢)

1351년(忠定王03)
「죽부인전(竹夫人傳)」⋅「차마설(借馬說)」 이곡(李穀)

1374~1388년(禑王代)
「저생전(楮生傳)」 이첨(李詹)

연대미상
「정시자전(丁侍子傳)」 식영암(息影庵)

[참고 6] 장르 정리 2 가전(假傳)



<고려가요(高麗歌謠) 작품들>

연대미상
「동동(動動)」 작자미상

연대미상
「처용가(處容歌)」 작자미상

연대미상
「서경별곡(西京別曲)」 작자미상

연대미상
「정석가(鄭石歌)」 작자미상

연대미상
「청산별곡(靑山別曲)」 작자미상

연대미상
「사모곡(思母曲)」 작자미상

연대미상
「상저가(相杵歌)」 작자미상

연대미상
「가시리」-歸乎曲 작자미상

연대미상
「예성강곡(禮成江曲)」 작자미상 가사부전

연대미상
「이상곡(履霜曲)」 작자미상

연대미상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작자미상

[참고 7] 장르 정리 3 고려속요(高麗俗謠)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시조(時調)>
이조년(李兆年:1269~1343)「다정가(多情歌)」
우  탁(禹倬:1263~1343)「탄로가(嘆老歌)」 2수
최  영(崔瑩:1316~1388)「호기가(豪氣歌)」
이  색(李穡:1328~1396)「백설(白雪)이」
원천석(元天錫:1330~?)「회고가(懷古歌)」 2수
이존오(李存吾:1341~1371)「개탄가(慨嘆歌)」
정몽주(鄭夢周:1337~1392)「단심가(丹心歌)」
길  재(吉再:1353~1419) 「회고가(懷古歌)」
이방원(李芳遠:1367~1422)「하여가(何如歌)」

[참고 8] 장르 정리 4 시조(時調) 231


1393년(太祖02)
「궁수분곡(窮獸奔曲)」ㆍ「납씨가(納氏歌)」ㆍ「정동방곡(靖東方曲)」ㆍ「문덕곡(文德曲)」ㆍ「신도가(新都歌)」 정도전(鄭道傳)

1395년(太祖04)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김지(金祗)ㆍ고사경(高士褧) 외

1414년(太宗14)
『동국약운(東國略韻)』 하륜(河崙) 외 부전(不傳)

1418~1450년(世宗代)
「상대별곡(霜台別曲)」⋅「주옹설(舟翁說)」 권근(權近)

1418~1450년(世宗代)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세종(世宗) 외

1425년(世宗07)
「화산별곡(華山別曲)」 변계량(卞季良)

1432년(世宗14)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설순(契盾)

1443년(世宗25)
『훈민정음(訓民正音)』

1447년(世宗29)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정인지(鄭麟趾) 외

1448년(世宗30)
『동국정운(東國正韻)』 신숙주(申叔舟) 외

1449년(世宗31)
『석보상절(釋譜詳節)』 수양대군(首陽大君) 외

[참고 9] 장르 정리 5 악장(樂章)


1455년(端宗03)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신숙주(申叔舟) 외

1456년(世祖02)
「사육신충의가(死六臣忠義歌)」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ㆍ하위지(河緯地)ㆍ이개(李塏)ㆍ유응부(兪應孚)ㆍ유성원(柳誠源)

1456~1493년(成宗代)
『금오신화(金鰲新話)』 김시습(金時習)

1469년(睿宗02)
『경국대전(經國大典)』 최항(崔恒) 외

1472~1481년(成宗12)
「상춘곡(賞春曲)」 정극인(丁克仁)

1472년(成宗03)
「불우헌가(不憂軒歌)」 정극인(丁克仁)
「불우헌곡(不憂軒曲)」 정극인(丁克仁)

1474년(成宗05)
『동인시화(東人詩話)』 서거정(徐居正)

1481년(成宗12)
『두시언해(杜詩諺解)』(分類杜工部詩諺解) 조위(曺偉)ㆍ의첨(義砧)

1484년(成宗15)
『동국통감(東國通鑑)』 서거정 외

1486년(成宗17)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노사신(盧思愼) 외

1493년(成宗23)
『악학궤범(樂學軌範)』 성현(成俔) 외

1498년(燕山君04)
「만분가(萬憤歌)」 조위(曺偉)

1504년(燕山君10)
『용재총화(慵齋叢話)』 성현(成俔)

1507~1554년(中宗代)
「도동곡(道東曲)」ㆍ「엄연곡(儼然曲)」ㆍ「육현가(六賢歌)」ㆍ「태평곡(太平曲)」 주세붕(周世鵬)

1517년(中宗12)
『번역소학(飜譯小學)』 김전(金詮) 외

1517년(中宗12)
『사성통해(四聲通解)』 최세진(崔世珍)

1519년(中宗14)
「화전별곡(花田別曲)」 김구(金絿)

1520년(中宗15)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최세진(崔世珍)

1523년(中宗18)
「악지가(樂志歌)」 이서(李緖)

1527년(中宗22)
『훈몽자회(訓蒙字會)』 최세진(崔世珍)

1533년(中宗28)
「면앙정가(俛仰亭歌)」-無等曲 송순(宋純)

1542~1587년(宣祖代)
「회심곡(回心曲)」-佛心曲 청허휴정(淸虛休靜)

1542~1587년(宣祖代)
「독락팔곡(獨樂八曲)」 권호문(權好文)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권호문(權好文)

1543년(中宗38)
「동지(冬至)ㅅ 기나진 밤을」‧「어져 내일이야」‧「청산리(靑山裏) 벽계수(碧溪水)ㅣ야」‧「산(山)은 녯 산(山)이로되」 황진이(黃眞伊)

[참고 10] 기녀시조


1555년(明宗10)
「어부가(漁父歌)」 이현보(李賢輔)

1545~1567년(明宗代)
『패관잡기(稗官雜記)』 어숙권(魚叔權)

1555년(明宗10)
「남정가(南征歌)」ㆍ「미인별곡(美人別曲)」 양사언(楊士彦)

1555년(明宗10)
「관서별곡(關西別曲)」 백광홍(白光弘)

1560년(明宗15)
「성산별곡(星山別曲)」 정철(鄭澈)

1565년(明宗20)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이황(李滉)

연대미상
「금보가(琴譜歌)」-琴賦歌 이황(李滉)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 이황(李滉)
「상저가(相杵歌)」 이황(李滉)

1567~1608년(宣祖代)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임제(林悌)
「수성지(愁城志)」 임제(林悌)
「화사(花史)」 임제(林悌)

1567~1608년(宣祖代)
「규원가(閨怨歌)」-怨夫詞ㆍ怨婦詞 허난설헌(許蘭雪軒)
「봉선화가(鳳仙花歌)」 허난설헌(許蘭雪軒)

1570년(宣祖03)
「서호별곡(西湖別曲)」 허강(許橿)

1578년(宣祖11)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石潭九曲歌  이이(李珥)
                      「자경별곡(自警別曲)」 이이(李珥)

1580년(宣祖13)
「관동별곡(關東別曲)」정철(鄭澈)
「훈민가(訓民歌)」 정철(鄭澈)

1585년(宣祖18)
「사미인곡(思美人曲)」정철(鄭澈)
「속미인곡(續美人曲)」정철(鄭澈)
「장진주사(將進酒辭)」정철(鄭澈)

[참고 11] 장르 정리 6 가사(歌辭)


1595년(宣祖28)
「고공가(雇工歌)」 허전(許㙉)

1595년(宣祖28)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이원익(李元翼)

1595년(宣祖28)
「백상루별곡(百祥樓別曲)」 이현(李俔)

1598년(宣祖31)
「태평사(太平詞)」 박인로(朴仁老)

1605년(宣祖38)
「선상탄(船上嘆)」 박인로(朴仁老)

1611년(光海君03)
「누항사(陋巷詞)」 박인로(朴仁老)
「사제곡(莎堤曲)」 박인로(朴仁老)
「독락당(獨樂堂)」 박인로(朴仁老)

1612년(光海君04)
「강호연군가(江湖戀君歌)」 장경세(張經世)

1613년(光海君05)
「계축일기(癸丑日記)」-西宮錄 인목대비(仁穆大妃) 나인(內人)

1614년(光海君06)
『지봉유설(芝峯類說)』 이수광(李晬光)

1618년(光海君10)
『홍길동전(洪吉童傳)』 허균(許筠)

1618년(光海君10)
「견회요(遣懷謠)」 윤선도(尹善道)
「우후요(雨後謠)」 윤선도(尹善道)

1621년(光海君13)
『어우야담(於于野談)』 유몽인(柳夢寅)

[참고 12] 장르 정리 7 야담(野談)

1616년(光海君08)
「출새곡(出塞曲)」 조우인(曺友仁)

1621년(光海君13)
「자도사(自悼詞)」 조우인(曺友仁)

1623년(仁祖01)
「매호별곡(梅湖別曲)」 조우인(曺友仁)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조우인(曺友仁)

1626년(仁祖04)
『첩해신어(捷解新語)』 강우성(康遇聖)

1632년(仁祖10)
 중간『두시언해(杜詩諺解)』 오숙(吳䎘) 외

1635년(仁祖13)
「영남가(嶺南歌)」  박인로(朴仁老)

1636년(仁祖14)
「노계가(蘆溪歌)」 박인로(朴仁老)

1636년(仁祖14)
『산성일기(山城日記)』 어느 궁녀

1637년(仁祖15)
『왕랑반혼전(王郞返魂傳)』 작자ㆍ연대 미상

1642년(仁祖20)
「산중신곡(山中新曲)」 윤선도(尹善道)
「초연곡(初筵曲)」 윤선도(尹善道)
「파연곡(罷筵曲)」 윤선도(尹善道)

1645년(仁祖23)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윤선도(尹善道)

1647년(仁祖25)
『순오지(旬五志)』 홍만종(洪萬宗)
『시화총림(詩話叢林)』 홍만종(洪萬宗)

1651년(孝宗0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윤선도(尹善道)

1652년(孝宗03)
「몽천요(夢天謠)」 윤선도(尹善道)

1655년(孝宗06)
「월선헌십육경가(月仙軒十六景歌)」 신계영(辛啓榮)

1661년(顯宗02)
「목동문답가(牧童問答歌)」-牧童歌 임유후(任有後)

1674~1720년(肅宗代)
『운영전(雲英傳)』-壽聖宮夢遊錄ㆍ柳泳傳 유영(柳永)

1675년(肅宗01)
「북관곡(北關曲)」 송주석(宋疇錫)

1677년(肅宗03)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최세진(崔世珍)
『노박집람(老朴輯覽)』 최세진(崔世珍)

1678년(肅宗04)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 박두세(朴斗世)

1687년(肅宗13)
『서포만필(西浦漫筆)』 김만중(金萬重)

1689년(肅宗15)
『구운몽(九雲夢)』 김만중(金萬重)

1689~1692년(肅宗18)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김만중(金萬重)

[참고 13] 장르 정리 8 고소설(古小說)


1703년(肅宗29)
『팔세아(八歲兒)』 신계암(申繼黯)

1713년(肅宗39)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이충상(李衝祥)

1722년(景宗02)
「낙은별곡(樂隱別曲)」 남도진(南道振)

1728년(英祖04)
『청구영언(靑丘永言)』 김천택(金天澤)

1739년(英祖15)
「금강별곡(金剛別曲)」 박순우(朴淳愚)

1744년(英祖20)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영조(英祖) 번역

1747년(英祖23)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正音通釋 박성원(朴性源)

1750년(英祖26)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 신경준(申景濬)

1751년(英祖27)
『삼운성휘(三韻聲彙)』 홍계희(洪啓禧)

1755~1795년(正祖代)
「무호가(武豪歌)」 강응환(姜膺煥)

1759년(英祖35)
『대악후보(大樂後譜)』 서명응(徐命膺)

1759년(英祖35)
「길몽가(吉夢歌)」 한석지(韓錫地)

1759~1783년(英祖代)
「낭호신사(郎湖新詞)」ㆍ「만고가(萬古歌)」 박이화(朴履和)

1763년(英祖39)
『해동가요(海東歌謠)』 김수장(金壽長)

1763년(英祖39)
『성호사설(星湖僿說)』 이익(李瀷)

1764년(英祖40)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김인겸(金仁謙)

1764년(英祖40)
『고금가곡(古今歌曲)』 송계연월(松桂煙月)

1769년(英祖45)
『반계수록(磻溪隨錄)』 유형원(柳馨遠)

1772년(英祖48)
『의유당일기(意幽堂日記)』 연안 김씨(延安金氏)

1775년(英祖51)
「관서악부(關西樂府)」ㆍ「관산융마(關山戎馬)」ㆍ「마생전(馬生傳)」ㆍ「호승전(虎僧傳)」ㆍ「검승전(劍僧傳)」『석북집(石北集)』 신광수(申光洙)

1780년(正祖04)
「허생전(許生傳)」ㆍ「호질(虎叱)」ㆍ「양반전(兩班傳)」ㆍ「광문전(廣文傳)」ㆍ「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ㆍ「민옹전(閔翁傳)」ㆍ「마장전(馬駔傳)」ㆍ「우상전(虞裳傳)」ㆍ「김신선전(金神仙傳)」ㆍ「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열하일기(熱河日記)』 박지원(朴趾源)

[참고 14] 조선시대(朝鮮時代) 한문학(漢文學) 약보(略譜) 


1791년(正祖15)
「심진곡(尋眞曲)」ㆍ「유랑사(浪遊詞)」 이기경(李基慶)

1782~1836년(純祖代)
「장천용전(張天慵傳)」ㆍ「조신선전(曹神仙傳)」ㆍ「죽대선생전(竹帶先生傳)」ㆍ「출동문(黜僮文)」『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정약용(丁若鏞)

1795년(正祖19)
『화성일기(華城日記)』 이의평(李義平)

1798년(正祖22)
「만언사(萬言詞)」-謾言詞ㆍ思故鄕 안조환(安肇煥)

1799년(正祖23)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서유문(徐有聞)

1805년(純祖05)
『한중록(閑中錄)』-閑中漫錄ㆍ泣血錄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1806년(純祖06)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이긍익(李肯翊)

1817년(純祖17)
『경세유표(經世遺表)』 정약용(丁若鏞)

1818년(純祖18)
『목민심서(牧民心書)』 정약용(丁若鏞)

1819년(純祖19)
『아언각비(雅言覺非)』 정약용(丁若鏞)

1824년(純祖24)
『언문지(諺文志)』 유희(柳僖)

1829년(純祖29)
『자모변(字母辯)』 황윤석(黃胤錫)

1832년(純祖32)
「조침문(弔針文)」 유씨 부인(兪氏婦人)

1843년(憲宗09)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정학유(丁學遊)

1844년(憲宗10)
「한양가(漢陽歌)」-漢陽風物歌ㆍ漢陽太平歌 한산거사(漢山居士)

1853년(哲宗04)
「북천가(北遷歌)」 김진형(金鎭衡)

1863년(哲宗14)
「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 작자미상

[참고 15] 십이잡가(十二雜歌)와 십이가사(十二歌詞)


1866년(高宗03)
「연행가(燕行歌)」 홍순학(洪淳學)

1876년(高宗13)
『가곡원류(歌曲源流)』-海東樂章ㆍ靑丘樂章 박효관(朴孝寬)ㆍ안민영(安玟英)


[참고 16] 고전극의 계보

판소리 여섯마당(「춘향가」,「적벽가」,「심청가」,「흥부가」,「수궁가」,「가루지기타령」) 신재효(申在孝)

[참고 17] 장르 정리 9 판소리


연대미상
「논 밭 갈아 기음 매고」 작자미상

연대미상
「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 작자미상


[참고 18] 장르 정리 10 사설시조 613


연대미상
「바리공주」 작자미상

[참고 19] 장르 정리 11 서사무가

부록 1 작가 색인
부록 2 작품 색인